티스토리 뷰
목차
SKT 통신장애 이후 "내 개인정보도 유출된 건 아닐까?" 걱정되셨죠? 실제 유출된 정보는 이름, 주민번호, 계좌번호 등 민감한 데이터로 이어질 수 있고, 보이스피싱·명의도용 등 2차 피해로 연결됩니다. 다행히 정부가 운영하는 무료 조회 서비스가 있으니,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개인정보 유출 징후 체크
✔️ 모르는 사이트 가입 알림
✔️ 휴대폰으로 ‘접속 알림’ 또는 ‘이상 로그인’ 문자
✔️ 통신사나 금융사 사칭한 스팸 문자 빈도↑
✔️ 본인도 모르는 계좌, 카드 거래 발생
✔️ 내 명의로 대출이 시도됨
공식 유출 확인 사이트: 개인정보보호 포털
✅ 개인정보보호 포털 유출 조회 시스템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운영
- 이름 + 주민등록번호 입력 → 유출사고 발생 여부 확인
- 과거 대규모 해킹 사고에서 내 정보 포함 여부 표시
- 유출된 기업명, 사고 연도, 유출 항목까지 확인 가능
민간 서비스 통한 신용·명의도용 확인
✅ NICE 지키미 – 명의도용 방지 / 가입 이력 확인
✅ 올크레딧(KCB) – 내 정보로 신용조회 요청된 기록 확인
✅ 토스 – 실시간 신용등급 변화·명의 도용 알림
📌 휴대폰 인증만으로 간편하게 조회 가능
유출이 의심될 때 반드시 해야 할 조치
🔒 1. 은행·쇼핑몰·SNS 비밀번호 전면 변경
🔒 2. 통신사(PASS)에서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신청
🔒 3. 카드사, 계좌 이상 거래 실시간 알림 설정
🔒 4. 피싱 문자 차단 앱 설치 (후후, 후스콜 등)
🔒 5. KISA 118 상담센터로 신고 가능
내 정보 점검 체크리스트
점검 항목 | 확인 방법 |
---|---|
내 정보 유출 이력 | eprivacy 포털 유출조회 |
명의도용 의심 내역 | NICE 지키미 / 올크레딧 조회 |
이상 로그인 기록 | 구글/네이버 > 접속 기록 확인 |
카드·계좌 거래 내역 | 토스 또는 카드사 앱 |
Q&A
Q1. 정부 사이트에서 확인된 유출 정보는 신뢰할 수 있나요?
A. 네. KISA가 관리하는 실제 유출 사고 이력이 반영됩니다.
Q2. 주민등록번호 입력해도 안전한가요?
A.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운영하는 공공기관 사이트로 안전합니다.
Q3. ‘유출 내역 없음’이라고 뜨면 무조건 안전한 건가요?
A. 아닙니다. 반영되지 않은 최근 유출 사고도 있으니 민간 사이트도 병행하세요.
Q4. 피해 발생 시 신고는 어디로?
A.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 또는 KISA 118센터를 이용하세요.
결론
개인정보 유출은 뉴스 속 일이 아닙니다. 나도 모르게 정보가 팔려나가고, 피해가 벌어지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어요. 공공기관 사이트에서 확인하고, 민간 서비스로 보완 조회하면 훨씬 안전한 디지털 생활이 가능합니다.
5분이면 끝나는 점검으로 내 개인정보, 스스로 지켜보세요.
※ 이 글에는 광고가 포함되지 않으며, 모든 링크는 공공·정보보호 기관을 기준으로 제공합니다.
📎 이전 글에서 이어보기
📌 SKT 통신장애로 인한 집단소송 참여 정보가 궁금하신가요?
절차, 참여 조건, 위임 방법까지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정보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대학 축제] 연세대 축제 일정 & 라인업 총정리 (0) | 2025.05.14 |
---|---|
자동차 리스, 렌트, 할부 - 차이점, 장점,단점 비교 (3) | 2025.05.12 |
2025 무료 노래방 어플 TOP 3 – 모두의노래방·썸씽·스타메이커 비교 (3) | 2025.05.12 |
2025 다자녀 자동차 취등록세 감면, 할인, 혜택 가이드 (2) | 2025.05.12 |
2025 제 21대 대선 토론 요약 총정리 : 공식 다시보기 포함 (4) | 202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