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SPC 사망사고 썸네일

     

     

     

    SPC 계열 공장에서 또다시 사망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제는 세 번째입니다
    소비자들의 분노는 계속되고 있지만 기업은 과연 바뀌었을까요
    이 글에서 그 반복된 사고의 흐름과 원인을 짚어봅니다

    지금 영상과 함께 사건의 진실을 확인하세요

     

     

     

     

     

     

    SPC 반복된 사고의 시작과 현재


    2022년 10월 SPC 계열 SPL 평택공장에서 20대 여성 노동자가 소스 혼합 기계에 끼여 사망했습니다
    다음날 공장을 정상 운영하며 기계만 흰 천으로 가렸다는 사실은 국민적 분노를 불러일으켰습니다
    허영인 회장은 대국민 사과를 발표하고 안전경영을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불과 몇 달 뒤 샤니 성남공장에서 손가락 절단 사고, 이어 2023년 반죽기 사고로 또 다른 사망사고가 발생했습니다
    2025년 5월에는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세 번째 중대재해가 발생하며 다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2025년 SPC 시화공장 사고 요약

     

     

     

    항목 내용
    사고 일시 2025년 5월 중순
    사고 장소 SPC삼립 시화공장
    피해자 50대 하청 노동자
    사고 원인 기계 윤활유 작업 중 끼임
    SPC 입장 사과 발표 및 조사 협조 중

     

    반복되는 구조적 문제

    사건이 반복되는 이유는 구조적인 문제 때문입니다
    위험 업무는 외주화되어 하청 노동자가 위험을 감당하며, 실질적 책임은 회피됩니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있음에도 형식적인 조사와 처벌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외주화된 위험 작업으로 인해 현장 안전관리 약화
    • 실제 사고 이후에도 개선 없는 반복된 사과
    • 법적 책임이 실질적으로 최고 책임자까지 미치지 않음

     

    spc 벨트

     

     

    국민 여론과 소비자 반응

    국민들은 SPC 사고에 분노하고 있습니다
    SNS상에서는 SPC 제품 불매와 관련된 해시태그가 다시 등장하고 있으며
    브랜드 이미지에 큰 타격이 가해지고 있습니다

    • 이 정도면 고의가 아니냐는 의견
    • SPC 제품 구매 중단 선언 확산
    • 책임지는 경영진은 없고 피해자만 존재한다는 비판

     

    spc 건물

     

     

    SPC 주요 브랜드 정리

    SPC 계열사 및 브랜드를 정리해 소비자 판단에 도움이 되도록 정리했습니다

    계열사 대표 브랜드
    SPC삼립 삼립호빵, 포켓몬빵
    파리바게뜨 제과 프랜차이즈
    BR코리아 배스킨라빈스, 던킨도너츠
    해피포인트 SPC 통합 포인트 앱

     

    변화를 위한 소비자의 선택

     

    소비자는 단순한 구매자가 아닌 변화의 주체입니다
    무엇을 소비하고 어떤 기업에 메시지를 전달할 것인지에 따라 사회적 책임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단순한 분노를 넘어서 꾸준한 관심과 실천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Q&A

    Q1 SPC 사고가 왜 반복되나요
    A 외주화된 구조와 현장 안전 부재가 근본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Q2 중대재해처벌법은 왜 무력하다는 말이 나오나요
    A 처벌 수위가 낮고 실제로 최고 책임자가 법적 책임을 지는 경우가 드뭅니다

     

    Q3 SPC 브랜드는 전부 불매해야 할까요
    A 불매 여부는 소비자 각자의 판단이지만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Q4 SPC는 개선 노력을 하고 있나요
    A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은 반복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현장 변화는 부족하다는 평가입니다

     

     

    마무리하며

    세 번째 SPC 사망사고는 더 이상 우연이 아닙니다
    이제는 기업의 구조적 문제를 바라보는 시선과 소비자의 행동이 필요한 때입니다
    단지 소비를 멈추는 것이 아닌, 바뀌기를 요구하는 행동이 필요합니다

    지금 영상을 통해 직접 확인해보세요

     

     

     

    본 게시글은 공익적 목적의 정보 전달을 위해 작성되었으며 특정 기업을 비방하려는 의도가 없습니다

    반응형